Search

Interface Method Specification

[- Disclaimer -] 아래 내용은 정보보안 공부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나, 이를 토대로 허가되지 않은 대상에 실습을 진행할 경우 해킹 시도로 간주하여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.
Interface Method Specification (=Interface 방법 명세화)
✦ 내/외부 시스템 연동 시 Interface 별 송/수신 방법, 송/수신 Data, 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을 명확히 명세화
✧ 시스템 연계 기술, Interface 통신 유형, 처리 유형, 발생 주기 등 포함
시스템 연계 기술
✦ DB Link
✧ DB에서 제공하는 DB Link 객체 사용
✦ API, Open API
✧ 송신 시스템 DB에서 Data를 읽어오는 API 사용
✦ 연계 솔루션
✧ EAI Server와 송/수신 시스템에 설치되는 Client 사용
✧ EAI (=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: 송/수신 Data 식별 및 진행 현황 Monitoring 및 제어 시스템
✦ Socket
✧ 통신용 Socket 생성 및 할당
✦ Web Service
✧ WSDL, UDDI, SOAP 등 사용
✦ WSDL (=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)
✧ Web Service와 관련 규격 정보 제공
✧ .xml 기반 규격
✦ UDDI (=Universal Description, Discovery and Integration)
✧ Web Service 관련 정보 공개 및 탐색 표준
✧ .xml 기반 규격
✦ SOAP (=Simple Object Access Protocol)
✧ 다른 Platform에서 Build된 Application 간 통신을 위해 HTTP, HTTPS, SMTP 등을 이용한 .xml 기반 Message로 통신하는 객체 간 통신 규약
Interface 통신 유형
✦ 개발할 시스템 <-> 내/외부 시스템 간 Data 송/수신 형태
✧ 단방향: 요청만 하고 응답은 없는 방식
✧ 동기: 요청 후 응답이 올 때까지 대기
✧ 비동기: 요청 후 응답이 올 때까지 다른 작업을 수행하다 응답 수신 시 처리
Interface 처리 유형
✦ 송/수신 Data 처리 방식
✧ 실시간 방식: 요청 시 바로 처리해야 할 때 적용
✧ 지연 처리 방식: 실시간 처리 시 많은 비용이 발생 될 때 적용
✧ 배치 방식: 대량의 Data 처리 시 적용
Interface 발생 주기
✦ 개발할 시스템 <-> 내/외부 시스템 간 Data 송/수신 시 Interface가 사용되는 주기
✧ 송/수신 Data 양에 따라 시간 단위, 일자 단위, 주 단위로 구분
송/수신 방법 명세화
✦ 업무 및 Data 특징과 발생 건수와 연계 시스템 구조 및 성능 등을 고려해 시스템 Interface 설계 시 작성한 Architecture 정의서를 기반으로 연계 방식, 통신 유형, 연계 처리 형태 명세화
송/수신 Data 명세화
✦ 내/외부 Interface 별 Table 정의서와 파일 Layout에서 연계하고자픈 Table 혹은 파일 단위로 명세화
오류 식별 및 처리 방안 명세화
✦ 내/외부 Interface List에서 전송 오류, 연계 프로그램 등에서 정의한 예외 상황 등 연동 시 오류 발생 상황에 대한 명세화
✧ Error Code, Error Message, Error 설명, Error 해결 방법 등 포함